캐나다 온타리오와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및 미국 C3 Framework의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 분석
본 연구는 캐나다 온타리오와 호주 교육과정 및 미국 C3 framework의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역사 영역에 초점을 두어 향후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교육과정 문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영역에서 4~6개 정도의 핵심 개념을 제시하고 있었고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핵심 개념은 ‘계속성과 변화’, ‘원인과 결과’와 ‘관점’이었다. 둘째, 일반화된 지식은 보다 포괄적인 영속적 이해를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기능은 탐구 기능에 초점을 두고 사회과 통합적 기능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기능들은 질문 구성, 자료수집, 자료 분석, 결론 도출, 그리고 의사소통과 관련되었다. 넷째,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과 관련된 질문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기능을 학년군에 따라 계열화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을 성취기준에 반영하고 그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문서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역사 영역에 초점을 두어 향후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자료 분석
III. 연구결과
1.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
2. 기능
3. 성취기준과 관련해서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및 기능 제시 방식
IV. 논의 및 시사점
1. 캐나다 온타리오 및 호주 교육과정과 미국 C3 framework의 비교·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2. 향후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